개인 Study Project(Home Server)

이승효

Updated:

Intro

안녕하세요? 이승효 사원입니다.
Home서버를 구축하며 알게된 점을 공유합니다.

1. Home서버 구축

공유기

현재 집에서는 공유기를 사용해 인터넷 통신을 하고 있습니다.
공유기는 공유기에 연결되는 모든 기기들이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게 해주며 공인 아이피를 하나 할당받습니다.

  • 인터넷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공인 아이피가 필요합니다.
  • 공유기는 연결된 모든 기기에 사설 아이피 할당함
  • 공유기에 연결된 모든 기기는 인터넷에 접근하기 위해서 반드시 공유기를 거쳐야 함

router

포트 포워딩

이제, 컴퓨터 1에 웹서버를 80번 포트로 열었다고 생각해 봅시다. 인터넷을 통해 다른 사람이 컴퓨터 1의 웹서버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사설 아이피가 아닌 공인 아이피가 필요합니다. 그렇다고 http://12.34.56.78:80 공유기 공인 아이피로 직접 접근을 하게 되면 연결은 공유기에 도달하면 끝나됩니다. 컴퓨터 1, 2, 3 중 어느 곳으로 보내줘야하는지 판단을 하지 못하기 때문인데 그렇기 때문에 공인 아이피로 들어오는 80번 포트의 연결을 컴퓨터 1의 80번 포트로 연결되게 설정하는 것을 포트 포워딩이라고 부릅니다.

portforwarding

포트 포워딩 설정

포트포워딩 설정은 대부분 공유기 설정에서 찾아볼 수 있으며 공유기마다 다르기 때문에 쓰던 공유기를 확인 후 메뉴얼대로 진행해야 합니다.

kt 공유기의 경우 http://homehub.olleh.com 접속 로그인 후

아이피 주소 확인

시작-실행 혹은 시작 버튼 옆의 windows 검색을 누른 후 “cmd”라고 입력 ipconfig 입력 후 엔터를 치면 IPv4 주소가 나오는 데 이 주소를 기억해두기

포트 포워딩 설정

장치 설정 - 트래픽 관리 기억해둔 IPv4주소 입력 후 내부 포트는 서버를 열은 포트, 외부 포트는 외부에서 접근할 때 이용할 포트를 적습니다. 보통은 내부, 외부 포트를 같게 설정합니다. portforwarding

DDNS?

여기까지 설정 후 외부에서 접속을 조금 더 편하게 하기 위해 도메인 네임을 설정하려고 했는데 찾아보니 유동 아이피는 도메인 네임에 아이피를 할당해도 아아피가 변경되면 사용 할 수 없게 된다고 한다. 집에서 사용하는 대부분 회선은 유동 아이피로 사용되기 때문에 홈 서버를 편하게 사용하기 위해선 고정 아이피를 할당받아야 한다.

그래서 찾아보던 중 고정 아이피를 할당해줘도 되지만 유동 아이피로도 사용할 수 있는 DDNS(Dynamic Domain Name Service)를 알게 되었고 적용해 보았다. DuckDns라는 DDNS 서비스를 사용해 보았다. duckdns

도메인 세팅

회원 가입 후 도메인 네임을 입력 후 add domain 버튼을 누르면 도메인이 생성되고 current ip 란에 아이피 주소를 입력 후 update ip를 누르면 셋팅이 된다.

유동 아이피 세팅

DuckDns를 install해서 적용을 시켜줘야 하는데 OS마다 적용법이 다르니 메뉴얼을 참고하자. OS는 윈도우-gui방식으로 설치해서 셋팅해 주었고, 도메인은과 토큰은 DuckDns로그인 시 보여지는 값을 입력하면 된다. ducksetting 이렇게 입력만하면 아이피가 변경되어도 변경된 아이피를 추적해 자동으로 업데이트를 시켜준다.



2. Study Project

사용 기술

  • java
  • javascript
  • mariadb
  • vue
  • jpa
  • springboot

로그인

springSecurity + jwt 방식으로 구현 했습니다.

Spring Security
Spring Security 는 사용자 정보 (ID/PW) 검증 및 유저 정보 관리 등을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합니다.
jwt
JWT(Json Web Token)은 웹표준(RFC7519)로서 일반적으로 클라이언트와 서버, 서비스와 서비스 사이 통신 시 권한 인가(Authorization)을 위해 사용하는 토큰이다.

@PostMapping("/signin")
	public ResponseEntity<?> authenticateUser(@Valid @RequestBody SignInVO signInReq) {

		Authentication authentication = authenticationManager.authenticate(
				new UsernamePasswordAuthenticationToken(signInReq.getMemberEmail(), signInReq.getMemberPwd())); // 아이디 패스워드로 인증

		SecurityContextHolder.getContext().setAuthentication(authentication); // 인증정보보관 
        
		String token = jwtUtils.generateJwtToken(authentication); // 토큰 발급
		String refreshToken = jwtUtils.generateRefreshJwtToken(token); // 리프레시 토큰 발급

		UserDetailsImpl boUserDetails = (UserDetailsImpl) authentication.getPrincipal(); // 인증정보매핑
        List<String> roles = boUserDetails.getAuthorities().stream()
				.map(item -> item.getAuthority())
				.collect(Collectors.toList());

		return getResponseEntity(new JwtResponse(
				boUserDetails.getUserSeq(),
				boUserDetails.getUsername(),
				boUserDetails.getUserRealName(),
				boUserDetails.getAddr(),
			    boUserDetails.getUserNickName(),
                roles,
                token, refreshToken));
	}

인증이 성공하면 유저정보, 토큰, 권한정보가 넘어가고 main 화면으로 이동 실패하면 오류 메시지를 던져줘 화면에서 처리하도록 했습니다.

// mutations
const mutations = {
    signinSuccess(state, res) {
        if (res.resultCode === '0000') {
            const data = res.data;

            state.user = new User(data.id ,data.email, data.userNm, data.roles[0], data.addr, data.nick); 
            state.token = data.token;
            state.refreshToken = data.refreshToken;
            state.type = data.type; // Bearer
            
            setTimeout(() => {
                router.push({ name: "Main" });
            }, 100);

            Vue.notify({
                group: 'loggedIn',
                type: 'success',
                text: '로그인에 성공했습니다.'
            });

        } else { 
            if (res.resultMessage == 'ID/PW를 확인해 주세요.') {
                Vue.notify({
                    group: 'loggedIn',
                    type: 'error',
                    text: '계정 정보를 확인해주세요!!'
                });
            } else {
                alert(res.resultMessage);
            }
        }
    }
}

로그인 체크

페이지를 이동 할 때 마다 프론트에서 라우터 가드로 토큰 유/무 체크

router.beforeEach((to, from, next) => {
	
	// 로그인 페이지 접근
	if (to.fullPath == "/") {
		// 토큰 확인 후 메인으로 이동
		if (store.getters['auth/getToken']) {
			next({ name: "Main" });
		}
	// 로그인 페이지 외 접근
	} else {
		// 권한 필요 페이지 체크
		if (to.matched.some(record => record.meta.requiresAuth)) {
			// 토큰 확인 후 정상 동작
			if (store.getters["auth/getToken"]) {
				next();
			// 토큰 없으면 로그인 페이지로 튕김
			} else {
				alert("다시 로그인 해주세요.");
                next({
					path: '/',
					query: { redirect: '' }
				})
			}
		// 권한 필요 페이지 아니면 정상 동작
		} else {
			next();
		}
	}
	
})

토큰 체크

서버 통신을 할때 마다 인터셉터로 토큰을 체크 후 header에 토큰 정보를 넣어서 보내줍니다.

this.axios.interceptors.request.use(
    config => {
        if (config.url == '/user/auth/refreshtoken') {
            const refreshToken = store.getters['auth/getRefreshToken'];
            if (refreshToken != null) {
                config.headers['Authorization'] = 'Bearer ' + refreshToken;
            }
        } else {
            const token = store.getters['auth/getToken'];
            if (token != null) {
                config.headers['Authorization'] = 'Bearer ' + token;
            }
        }
        return config;
    },
    error => {
        Promise.reject(error)
    });

401 에러가 떨어지면 refreshToken을 발급하는 로직을 태워 재발급을 실행합니다.

this.axios.interceptors.response.use((response) => {
    return response;
}, async (error) => {
    const originalRequest = error.config;
    const errorMessage = error.response.data.message;
    if (error.response.status === 401 && errorMessage != "ID/PW를 확인해 주세요.") {
        originalRequest._retry = true;
        await store.dispatch('auth/refreshToken');
        originalRequest.headers['Authorization'] = 'Bearer ' + store.getters['auth/getToken'];
        return axios(originalRequest);
    }
    if (error.response.status === 403) {
        alert('접근권한이 없습니다');
        router.push({
            path: '/',
            query: { redirect: '' }
        });
    }
    return Promise.reject(error);
});

리프레시 토큰 유효성 검증 후 분기 처리를 해줍니다.

@PostMapping(value = "/refreshtoken")
	public ResponseEntity<?> refreshToken(HttpServletRequest request) {
		String headerAuth = request.getHeader("Authorization");
		if (StringUtils.isNotEmpty(headerAuth) && headerAuth.startsWith("Bearer ")) { // 토큰 체크
			String refreshToken = headerAuth.substring(7);
			try {
				if(jwtUtils.validateJwtToken(refreshToken)) { // 유효성 검증
					String newToken = jwtUtils.generateJwtToken(refreshToken); // 새로운 토큰 생성
					String newRefreshToken = jwtUtils.generateRefreshJwtToken(newToken); // 새로운 리프레시 토큰 생성
					HashMap<String, String> tokens = new HashMap<>();
					tokens.put("token", newToken);
					tokens.put("refreshToken", newRefreshToken);
					return getResponseEntity(tokens);
				} else {
					log.error("리플레시 토큰 유효기간 만료!!");
					return getErrorEntity(new HashMap<String,String>(){put("message","토큰이 유효하지 않습니다.")});
				}
			} catch (Exception e) {
				log.error("refreshToken Exception", e);
			}

		}

		return null;
	}


새로고침 시 로그인 풀림현상

프로젝트를 진행 하던 중 새로고침 시 로그인이 풀리는 버그가 있었는데 새로고침을 하면 store에 들어있는 데이터(토큰, 유저정보)등이 날아가서 라우터가드에 의하여 메인페이지로 튕겨져 나갔다. 구글링 중 vuex-persistedstate라는 라이브러리가 store와 localstorage 값을 동기화 시켜준다는 걸 알게되었고 vuex-persistedstate플러그인을 적용해 이문제를 해결 하였다.

import createPersistedState from "vuex-persistedstate";

export const store = new Vuex.Store({
  modules: {
    auth,
    notice,
    video
  },
  plugins: [createPersistedState()] // 적용
})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