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 핵심 기본편2

이승효

Updated:

Intro

인프런 Spring 핵심 기본 편을 듣고 알게 된 점을 공유합니다.

1. @Configuration의 싱글톤 보장

@Configuration
public class AppConfig {

    @Bean
    public MemberService memberService() {
        System.out.println("call AppConfig.memberService");
        return new MemberServiceImpl(memberRepository());
    }

    @Bean
    public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
        System.out.println("call AppConfig.memberRepository");
        return new MemoryMemberRepository();
    }

    @Bean
    public OrderService orderService() {
        System.out.println("call AppConfig.orderService");
        return new OrderServiceImpl(memberRepository(), discountPolicy());
    }

    @Bean
    public DiscountPolicy discountPolicy() {
        return new FixDiscountPolicy();
//        return new RateDiscountPolicy();
    }

}

코드를 보면 Bean 객체를 생성할 때 new를 통해 새로운 객체를 반환해주고 있다.
코드상으론 싱글 톤 보장이 안될 것 같다…. 한번 테스트를 해보았는데

public class ConfigurationSingletonTest {

    @Test
    void configurationTest() {
        ApplicationContext ac = new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AppConfig.class); // 빈 등록
    }

}

설정 파일 대로라면
memberService 빈 등록 시 call AppConfig.memberService 가 찍히고
memberRepository를 호출해 call AppConfig.memberRepository 가 찍히고
memberRepository 등록 시 call AppConfig.memberRepository가 찍히고
orderService 등록 시 call AppConfig.orderService 가 찍히고
memberRepository를 호출하면서 call AppConfig.memberRepository가 한 번 더 찍혀야 할 것 같은데…

싱글톤 보장 안될 시 예상 로그

call AppConfig.memberService
call AppConfig.memberRepository
call AppConfig.memberRepository
call AppConfig.orderService
call AppConfig.memberRepository

테스트 로그

call AppConfig.memberService
call AppConfig.memberRepository
call AppConfig.orderService

테스트 시 싱글톤이 보장되고 있다.
싱글톤이 보장되는 비밀은 @Configuration 애노테이션에 있다.
AppConfig 객체를 로그에 찍어 보았다.

@Test
void configurationDeep() {
    ApplicationContext ac = new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AppConfig.class);
    AppConfig bean = ac.getBean(AppConfig.class);

    System.out.println("bean = " + bean);
}
bean = hello.core.AppConfig$$EnhancerBySpringCGLIB$$390333c8@d71adc2

클래스 명 뒤에 \(EnhancerBySpringCGLIB\) 가 붙는다.
@Configuration 애노테이션을 사용하면 CGLIB라는 바이트코드 조작 라이브러리를 사용해
AppConfig 클래스를 상속받은 임의의 다른 클래스를 만들고, 그 다른 클래스를 스프링 빈으로 등록해 준다.
그 임의의 클래스가 바로 싱글톤이 보장되도록 해준다.

(CGLIB 예상 로직)


if (memoryMemberRepository가 이미 스프링 컨테이너에 등록되어 있으면?) {
        return 스프링 컨테이너에서 찾아서 반환;
    } else { //스프링 컨테이너에 없으면
        기존 로직을 호출해서 MemoryMemberRepository를 생성하고 스프링 컨테이너에 등록
        return 반환
}

@Bean이 붙은 메서드마다 이미 스프링 빈 이 존재하면 존재하는 빈을 반환하고,
스프링 빈이 없으면 생성해서 스프링 빈으로 등록하고 반환하는 코드가 동적으로 만들어진다.
덕분에 싱글톤이 보장된다.

@Configuration 을 주석 처리하고 로그를 찍어 테스트를 해보았다.

테스트 로그

bean = hello.core.AppConfig@1b9ea3e3

\(EnhancerBySpringCGLIB\)가 없어졌다.

call AppConfig.memberService
call AppConfig.memberRepository
call AppConfig.memberRepository
call AppConfig.orderService
call AppConfig.memberRepository

예상대로 싱글톤이 적용되지 않은 로그가 찍혔다.

2. @ComponentScan

스프링은 수동(@Bean)으로 빈을 등록할 수도 있고 자동으로도 등록 가능한데, @ComponentScan 사용하면 @Component 애노테이션을 찾아 자동으로 빈으로 등록해 준다.

@Configuration
@ComponentScan
public class AutoAppConfig {
}
@Component
public class MemberServiceImpl implements MemberService {

    private final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Autowired
    public MemberServiceImpl(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
        this.memberRepository = memberRepository;
    }
}

@ComponentScan으로 빈 등록할 경우 MemberServiceImpl라는 클레스가 빈으로 등록되는데 의존관계가 있다면 주입을 해줘야 한다. 이 경우 자동 의존관계 주입 @Autowired를 사용해 의존관계를 주입해 준다.

@SpringBootApplication
public class CoreApplicatio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pringApplication.run(CoreApplication.class, args);
	}

}

스프링 부트의 경우 @SpringBootApplication이 가장 기본적인 설정으로 적용되어 있는데 애노테이션 안으로 들어가 보면

@Target(ElementType.TYPE)
@Retention(RetentionPolicy.RUNTIME)
@Documented
@Inherited
@SpringBootConfiguration
@EnableAutoConfiguration
@ComponentScan(excludeFilters = { @Filter(type = FilterType.CUSTOM, classes = TypeExcludeFilter.class),
		@Filter(type = FilterType.CUSTOM, classes = AutoConfigurationExcludeFilter.class) })
public @interface SpringBootApplication {

기본적으로 @ComponentScan이 적용되어 있는 걸 확인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가 자주 사용하는 @Controller, @Service, @Repository 애노테이션이 붙어있으면 빈으로 생성되고 @Autowired를 통해 의존성 주입 사용이 가능해진다.

@Target({ElementType.TYPE})
@Retention(RetentionPolicy.RUNTIME)
@Documented
@Component
public @interface Controller {
@Target({ElementType.TYPE})
@Retention(RetentionPolicy.RUNTIME)
@Documented
@Component
public @interface Service {
@Target({ElementType.TYPE})
@Retention(RetentionPolicy.RUNTIME)
@Documented
@Component
public @interface Repository {

@Controller, @Service, @Repository을 까보면 모두 @Component가 붙어있는 걸 확인할 수 있다.

3. 생성자 주입 장점??

3-1. 순수자바 코드 테스트 가능

필드 주입

public class OrderServiceImpl implements OrderService {
    
    @Autowired
    private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Autowired
    private DiscountPolicy discountPolicy;

    @Override
    public Order createOrder(Long memberId, String itemName, int itemPrice) {
        Member member = memberRepository.findById(memberId);
        int discountPrice = discountPolicy.discount(member, itemPrice);

        return new Order(memberId, itemName, itemPrice, discountPrice);
    }

}

사용하기 편해서 필드 주입으로 사용하고 있는데 이런 식으로 사용하면 순수한 자바 코드로 테스트할 때 의존성 주입이 불가능하다.

@Test
void fieldInjectionTest() {
    OrderServiceImpl orderService = new OrderServiceImpl();
    orderService.createOrder(1L, "Test", 1000);
}

테스트 시 NullPointException이 발생한다. memberRepository와, discountPolicy에 의존성 주입을 해줄 수가 없기 때문이다.

3-2. 불변

대부분의 의존관계 주입은 한번 일어나면 애플리케이션 종료 시점까지 의존관계를 변경할 일이 없다.
오히려 대부분의 의존관계는 애플리케이션 종료 전까지 변하면 안된다. (불변해야 한다.)
수정자 주입을 사용하면, setXxx 메서드를 public으로 열어두어야 한다.
누군가 실수로 변경할 수도 있고, 변경하면 안되는 메서드를 열어두는 것은 좋은 설계 방법이 아니다.
생성자 주입은 객체를 생성할 때 딱 1번만 호출되므로 이후에 호출되는 일이 없다.
따라서 불변하게 설계할 수 있다.

3-3. final 키워드

public class OrderServiceImpl implements OrderService {

    private final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private final DiscountPolicy discountPolicy;

    @Autowired
    public OrderServiceImpl(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DiscountPolicy discountPolicy) {
        this.memberRepository = memberRepository;
        this.discountPolicy = discountPolicy;
    }
}

생성자 주입을 사용하면 필드에 final 키워드를 사용할 수 있다.
그래서 생성자에서 혹시라도 값이 설정되지 않는 오류를 컴파일 시점에 막아준다.
생성자 주입 방식을 선택하는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지만,
프레임워크에 의존하지 않고, 순수한 자바 언어의 특징을 잘 살리는 방법이기도 하다.

Leave a comment